본문 바로가기
교정이야기

교정치료의 부작용 (3) 재귀경향

by THE조은 치과 2012. 10. 30.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의 웅원장입니다.

 

제가 좀 게을러서 포스트가 늦어지고 있네요.

이번에 다룰 교정치료의 부작용 3번째는

재귀경향 입니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교정치료결과도 평생을 걸쳐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병을 병원에서 고쳐도 다시 재발할 수 있듯이,

주름살을 없애고 보톡스를 맞아도 그 효과가 없어지고 다시 시술받아야 하듯이,

지방흡입을 하고 다이어트를 해도 다시 살찔 수 있듯이,

교정치료결과도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오해하시는 것은

치과 진료 결과는 평생유지되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입니다.

 

자동차에도, 컴퓨터에도, 가구에도, 전자렌지에도, 세탁기에도, TV에도

수명이 있듯이

치과 치료 결과도 수명이 있기 마련입니다.

 

치아를 억지로 이동시키는 교정치료는 사실 우리몸이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몸은 지금 현재의 몸상태 그대로 있길 원합니다.

우리몸은 치아가 지금 이위치에 있길 원합니다.

따라서, 억지로 치아를 가지런히 배열하면, 우리몸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치아를 가져갈려 합니다.

 

교정치료 기간 동안에는 철사로 치아가 묶여 있어 그럴 수 없지만,

교정치료가 끝나고 교정장치와 철사를 제거하게 되면,

바로 다음날부터 재귀경향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루에 조금씩 조금씩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지요.

(그렇다고 완전히 교정시작전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닙니다. 조금씩 틀어질 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교정치료가 끝나게 되면 치료결과를 가능한 한 오래 유지하기위해

유지장치를 장착하게 됩니다.

 

유지장치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가철식

2. 고정식

 

1.가철식은 환자가 스스로가 뺐다꼈다 하는 유지장치로 환자스스로가 열심히 끼지 않으면, 유지효과가 없는 장치입니다.

 

 

 

2. 고정식은 치아 뒷면에 접착제로 가느다란 철사를 붙인 것으로 환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유지기능을 수행하지만

잘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식사시에 조심해야 합니다.

THE조은치과에서 사용하는 방식이지요.

 

 

 

하지만, 유지장치를 해도 교정치료 결과는 조금씩 돌아갑니다.

그리고, 발치교정치료를 하신 환자분의 경우 발치공간이 조금 다시 벌어질 수 있습니다.

 

저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교정과 수련의때 교수님께 교정치료를 받았는데요.

2005년에 끝났으니 끝난지 7년이 흘렀네요.

제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아무리 교수님이 하셔도, 교수님의 할아버지가 하셔도,

재귀경향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물론, 처음 상태처럼 돌아가지는 않습니다. ^^*

 

저의 사진을 보시죠.

 

 

 

치료전

 

 

치료후

 

 

 

7년후 현재 입니다.

 

이제 아시겠죠? 교정치료결과는 조금 돌아가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