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치과교정학회3

제47회 대한치과교정학회 학술대회를 다녀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웅원장입니다. 지난 10월31일과 11월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47회 대한치과교정학회 학술대회를 참석하였습니다. 보통 치과학회는 봄과 가을에 2회에 나눠서 열리는 경우가 많은데 교정학회는 1년에 한번 10월말 혹은 11월초에 2일에 걸쳐 열리게 됩니다. 작년엔 제주도에서 학회가 있었던 관계로 참석을 못하여, (지금까지 빠져본 적이 없었는데...) 올해는 꼭 참석을 하고자 했습니다. 강의가 9시부터 시작을 하는 관계로 일찍 양주에서 출발을 하였으나, 길이 너무나 막혀서 10시가 되어서야 도착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학회에 2년만에 참석해서 느낀 점은 '역시 교정의사는 참 많구나' 였습니다. 수많은 의사선생님들이 교정계에 몸담고 있는 것을 보니 왠지 경쟁의식이 생기면서 더 열심히 해.. 2014. 11. 7.
치대 교수 571명 퇴출 위기?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일단 기사 하나 보시겠습니다. 여러분, 전문의 제도를 아십니까? 네. 바로 치과나 다른 의원들 간판에서 볼 수 있는 전문의 말입니다. 의과에서는 수련을 받은 의사에 대해 전문의 시험을 거쳐 전문의 자격을 준 지 오래되었지만, 치과에서는 1998년에 치대에 입학한 학생들부터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주고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1997년에 치대에 입학한 저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처음부터 없습니다. 같은 수련을 받고 같은 공부를 했지만, 저는 전문의 시험응시 자격이 없고, 저의 1년 후배들은 자격이 있는 것이지요. 다행히,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 인정하는 인정의 자격증은 있습니다. 전문의는 보건복지부에서 자격을 주지만, 인정의는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 자격을 주.. 2013. 10. 22.
오늘은 제 자랑 좀 할려구요.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오늘은 제 자랑 좀 할려고 합니다. ^^* 요즘 주위 치과의원들을 보면, 교정치료를 전문적으로 한다고 되어 있는 곳이 많습니다. 특히 교정수련을 받지 않아도 교정치료를 하는 것이 의료법에 위반되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더 그런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제대로 된 교정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정수련병원(되도록이면 대학병원)에서 4년동안 수련을 받고,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 시행하는 인정의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저 웅원장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치과교정과에서 인턴 1년, 레지던트 3년의 수련을 받고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 시행한 인정의 시험을 통과하였습니다. 이에 더하여, 저 웅원장은 경희대학교 치과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였습니다. (학장상은 수석졸업자에게 주어지는 .. 2013.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