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조은치과80

2013년 추석연휴 진료휴무 안내입니다.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2013년 추석연휴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추석연휴준비는 잘 하고 계시지요? 2013년 추석연휴 중 THE조은 치과의 진료휴무는 2013년 9월18일 - 9월22일까지 입니다. 무려 5일간이네요...^^ 휴무가 긴 만큼 직원분들 다른 원장님들 모두 편히 쉬시고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뵙길 바래봅니다. 2013. 9. 16.
선수술 교정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오늘 아침 출근해서 인터넷을 하던 중 눈길이 가는 기사가 있어 캡쳐 해봤습니다. 양악수술 부작용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현재 양악수술 시장에서는 선수술, 후교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많이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사실 제가 수련을 받았을 때만 해도 주걱턱으로 양악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요즘은 주걱턱이 아니라도 양악수술을 남발해서 문제이지요.) 무조건 교정을 먼저하고 수술을 나중에 하는 것으로 배우고 치료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선수술 후교정 술식이 나오더니 선수술을 하지 않는 교정의사 이를테면, 저같은 교정의사들은 시대에 뒤떨어진, 낙후된, 실력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기 시작하였습니다. TT 선수술과 후수술의 차.. 2012. 11. 6.
교정치료의 부작용 (3) 재귀경향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의 웅원장입니다. 제가 좀 게을러서 포스트가 늦어지고 있네요. 이번에 다룰 교정치료의 부작용 3번째는 재귀경향 입니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교정치료결과도 평생을 걸쳐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병을 병원에서 고쳐도 다시 재발할 수 있듯이, 주름살을 없애고 보톡스를 맞아도 그 효과가 없어지고 다시 시술받아야 하듯이, 지방흡입을 하고 다이어트를 해도 다시 살찔 수 있듯이, 교정치료결과도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오해하시는 것은 치과 진료 결과는 평생유지되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입니다. 자동차에도, 컴퓨터에도, 가구에도, 전자렌지에도, 세탁기에도, TV에도 수명이 있듯이 치과 치료 결과도 수명이 있기 마련입니다. 치아를 억지로 이동시키는 교정치.. 2012. 10. 30.
교정치료의 부작용 (2) 충치와 잇몸염증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교정치료의 2번째 부작용 충치와 잇몸염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번째 부작용인 치근흡수는 환자 스스로는 어쩔 수 없는 면이 있지만, 2번째 부작용인 충치와 잇몸염증은 환자 스스로가 충분히 막을 수 있는 부작용입니다. 충치와 잇몸염증은 사실 교정치료 여부와는 상관없이 식사후 칫솔질을 하지 않으면,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구강병입니다. 따라서, 환자 스스로 칫솔질만 제대로 한다면 생기지 않을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칫솔질이 그 누구보다 교정환자에게 중요한 이유는 교정장치 자체가 칫솔질을 방해할 뿐더러 세균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줄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이유로 교정치료를 받으시는 환자분들은 세상 그 누구보다 더 칫솔질을 잘 하셔.. 2012. 10. 23.
교정치료의 부작용 (1) 치근흡수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오늘부터 6번에 걸쳐 교정치료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교정치료는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고 나온 입을 들어가게 하지만, 이러한 치아이동에는 언제나 치근흡수 라는 불쾌한 친구가 따라오게 됩니다. 치근흡수는 무엇이며,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치근흡수는 말 그대로 치아의 뿌리가 흡수되어 짧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치아의 뿌리가 짧아진다고 하니 기분나쁘고 치아가 금방 뽑힐 것처럼 들리지만, 그 흡수되는 양이 적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 제가 치료한 환자의 치료전후 X-ray 사진을 보시지요. 치료전 치료후입니다. (위아래 치아의 하얀선은 유지장치입니다.) 치아뿌리의 길이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자세히 보시면 약간의 차이가 생긴 것을 알.. 2012. 10. 22.
부정교합 자가진단법입니다~~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오늘은 부정교합의 자가진단법입니다. 뭐 대단한건 아니구요. 대한치과교정학회 홈페이지에서 퍼온 것을 단순히 올려봅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치과교정학회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http://www.kao.or.kr 사실 부정교합이 없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완벽한 사람은 없으니까요. 그래서 부정교합은 학문적인 차원이 아니라 개인적인 그리고 주관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고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부정교합이 되고 교정치료를 받으셔야 하겠고, 부정교합이라고 해도 자신이 불편한 것이 없고 고치고 싶은 부분이 없다면 교정치료가 필요없을 것입니다. 부정교합의 치료는 환자 자신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니까요~^^* 2012.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