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정이야기

교정치료의 부작용 (6) 신경치료 가능성

by THE조은 치과 2013. 9. 23.

안녕하세요. THE조은 치과 웅원장입니다.

 

추석연휴는 잘보내셨나요?

 

전 부모님과 가까운 교외로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일연속으로 쉰 게 언제인지...이번 연휴는 참 길었네요. 오랜만에 출근해서 환자를 보니

 

좀 어색하고, 뻘쭘하고 했네요...물론 티는 안낼려고 노력은 했습니다. ^^*(환자분들 티났나요?)

 

잡설은 여기까지... 오늘 살펴 볼 교정치료의 마지막 여섯번째 부작용은

 

'신경치료 가능성' 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꼭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어날 수도 있다 정도의 부작용입니다.

 

사실, 제가 2003년부터 지금까지 교정환자를 보면서 딱한번만 일어난 부작용일 정도로

 

일어날 확률이 낮습니다.

 

제가 겪은 경우도 치아 1개에서만 일어난 것이므로(자연치는 28개입니다.) 그 확률이 아주 적다는 걸

 

알 수가 있습니다.

 

 

그럼 신경치료를 받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요?

 

모든 치아내부에는 신경과 혈관이 있는 빈공간(치수강)이 있습니다. 신경과 혈관이 있기에

 

치아에 감각이 있고, 씹는 맛, 통증등을 느낄 수가 있는데요. 여기에 존재하는 신경과

 

혈관은 매우 가는 것으로 뼈에서 부터 나와 치아뿌리끝의 작은 구멍(치근단공)을 통해

 

치아내부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데 이 신경과 혈관이 매우 가늘어서 교정치료를 통한

 

치아이동시 끊어질 가능성이 존재하게 됩니다.

 

만약, 아주 드물긴 하지만, 이 신경과 혈관이 끊어지게 되면, 치아는 영양공급을 못받게 되고

 

치아는 죽게 됩니다.(실활치) 하지만, 치아는 죽었다고 빼버리는 것이 아니라

 

신경치료를 받게 되면, 다시 쓸 수가 있습니다.

 

 

신경치료란 치아내부에 존재하는 신경과 혈관을 제거하고, 치아내부를 치과재료로 채우게

 

되는 과정으로 치아가 죽은 경우 신경치료를 받아야 계속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제가 겪은 경우를 사진으로 보시겠습니다.

 

 

 

 

 

위의 환자분은 교정치료중 상악우측견치가 죽어 신경치료를 진행한 경우입니다.

 

마지막 사진에서 보시듯이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가 어떤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신경치료 후에도 예전과 다름 없이 치아를 쓸 수 있기에 너무 걱정하실 부작용은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신경치료 과정이 좀 귀찮은 것은 어쩔 수가 없지요...TT

 

 

여기까지 대표적인 교정치료의 부작용 6가지를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검색해 보시면, 워낙 많은 곳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라 다른 블로그나 카페에서 검색을 추가로 하신다면,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더 궁금하신 것이 있으시다면 boychef@hanmail.net 으로 이메일보내주세요~

 

능력이 되는대로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꾸벅~~^^